티스토리 뷰

휴일근무수당 완벽 정리: 공휴일, 야간, 연장근무 수당 계산법

휴일근무수당 계산기 바로가기

 

 

휴일에 출근하면 당연히 추가 보상을 받아야 하지만, 정확한 계산법을 몰라서 손해 보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공휴일, 야간근무, 연장근무가 겹치는 경우 계산이 복잡해지죠. 이 글에서는 휴일근무수당의 정의부터 계산 방법, 사업장 규모별 지급 의무까지 상세히 정리해 드립니다. 제대로 알고 정당한 권리를 챙기세요!

 

 

연차수당도 궁금하시면 아래에서 확인해보세요!

 

 

 

연차수당 계산 방법 한눈에

연차수당 계산법 완벽 정리! 지급 기준부터 세금 공제까지 한눈에연차수당은 직장인이라면 반드시 알아야 할 중요한 권리입니다. 1년 동안 성실히 근무한 대가로 지급되는 정당한 보상이지만,

604.healcent.com

 

 

휴일근무수당 계산법: 가산율 적용 방식

 

휴일근무수당은 근로기준법에 따라 ‘시급 × 근무시간 × 가산율’ 로 계산됩니다.

1️⃣ 기본 휴일근무수당

  • 유급휴일 근무: 시급의 1.5배 지급
    예) 시급 2만 원 × 8시간 × 1.5배 = 24만 원

2️⃣ 연장근무(8시간 초과 근무)

  • 추가 근무시간에 대해 50% 가산 지급
    예) 시급 2만 원으로 10시간 근무 시
    • 8시간 → 24만 원(기본 150%)
    • 초과 2시간 → 6만 원(시급의 150%)
    • 총 지급액: 30만 원

3️⃣ 야간근무(22시~06시)

  • 기본 시급의 50% 추가 지급
    예) 시급 2만 원 × 4시간 × 1.5배 = 12만 원

4️⃣ 연장 + 야간근무가 겹치는 경우

  • 22시 이후 초과 근무 시 연장근무(50%) + 야간근무(50%) = 총 100% 가산 예) 시급 2만 원으로 22시~02시까지 근무(4시간)
    • 기본: 2만 원 × 4시간
    • 연장 가산(50%) + 야간 가산(50%) = 100% 추가
    • 총 지급액: 16만 원

 

 

 

 

휴일근무란? 법정휴일과 약정휴일의 차이

휴일근무란 원래 쉬는 날에 근무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하지만 ‘쉬는 날’이 법적으로 정해진 날인지, 회사와 합의한 날인지에 따라 적용 방식이 달라집니다. 먼저 근로계약서를 꼼꼼하게 읽어보시고 체크하세요.

  • 법정휴일: 법으로 정해진 휴일로, 대표적으로 주휴일(일주일에 하루 의무 휴식)공휴일(설날, 추석, 어린이날 등) 이 있습니다.
  • 약정휴일: 회사와 근로자가 합의한 휴일로, 창립기념일 등 사업장별로 다를 수 있습니다.

모든 휴일근무에 대해 수당이 지급되는 것은 아닙니다. 중요한 점은 해당 휴일이 ‘유급’인지 여부 입니다.

 

 

 

 

 

휴일근무수당 지급 조건과 5인 이상·미만 사업장 차이

유급휴일과 무급휴일 구분

  • 유급휴일: 근무 여부와 관계없이 급여가 지급되는 날(법정 공휴일 등).
  • 무급휴일: 근로계약 또는 취업규칙에서 정한 휴일로, 급여 지급 의무가 없습니다.

사업장 규모별 휴일근무수당 지급 의무

5인 이상 사업장: 휴일근무수당 지급이 법적으로 의무화
5인 미만 사업장: 법적 의무 없음(단, 근로계약서에 따라 지급 가능)

법적으로 5인 미만 사업장은 가산수당 지급이 강제되지 않지만, 회사에서 자율적으로 지급할 수도 있습니다.

 

 

 

 

휴일근무 후 대체휴무, 가능할까?

휴일근무를 했다면 원칙적으로 수당 지급이 우선 입니다. 하지만 근로자와 회사가 합의하면 다른 평일에 쉬는 ‘대체휴무’ 로 보상받을 수도 있습니다.

중요:

  • 근로자가 대체휴무 대신 수당 지급을 원한다면 회사는 반드시 지급해야 함
  • 대체휴무는 반드시 근로자 동의 를 받아야 하며, 일방적인 강요는 불법

 

 

급여 처리 및 4대 보험 적용

1️⃣ 휴일근무 시 급여 처리

  • 휴일근무수당은 통상임금 기준으로 지급
  • 5인 이상 사업장은 공휴일 근무 시 150% 지급 의무

2️⃣ 결근·휴직 시 4대 보험 영향

  • 결근: 결근한 날의 급여는 공제됨 → 급여에 따라 4대 보험료도 변동 가능
  • 육아휴직 등 장기휴직: 회사에서 유급으로 처리하지 않으면 급여는 지급되지 않지만, 4대 보험료 납부 방식은 조정 가능 (노동청 문의 필요)

 

 

 휴일근무수당, 정확하게 알고 정당한 권리 찾기

휴일근무수당은 단순한 추가 보상이 아니라, 근로자의 휴식권을 보장하고 과로를 방지하기 위한 법적 장치 입니다.

✔️ 휴일근무 여부에 따라 지급해야 하는 수당이 다름
✔️ 5인 이상 사업장은 가산수당 지급 필수, 5인 미만 사업장은 법적 의무 없음
✔️ 연장·야간·휴일근무가 겹치면 가산율이 중복 적용
✔️ 휴일근무 후 대체휴무 가능하지만 반드시 근로자 동의 필요

휴일에도 일한 만큼 정당한 보상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자신의 근로 조건을 꼼꼼히 확인하고, 필요하다면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